공공디자인 (Public Design)

개념

  • 도시와 지역의 공공 영역(도로, 공원, 광장 등)에 설치되는 모든 물리적 요소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.
  • 공공의 편의성과 미관을 개선하여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.

주요 특징

  1. 보편성: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과 편리성.
  2. 심미성: 공공공간의 미적 품질 향상.
  3. 안전성: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한 설계.
  4. 지속 가능성: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.
  5. 참여성: 주민 의견을 반영하여 사용자 중심 설계.

주요 요소

  • 가로시설물: 벤치, 가로등, 쓰레기통, 안내판 등.
  • 교통 시설: 정류장, 보행자 도로, 자전거 도로.
  • 공공 예술: 조형물, 벽화, 설치 미술.
  • 공간 설계: 공원, 광장, 쉼터, 녹지 공간.

목적

  • 도시 브랜드 이미지 강화.
  • 공공공간의 효율적이고 조화로운 활용.
  • 주민 삶의 질 개선과 공동체 의식 형성.

토탈디자인 (Total Design)

개념

  • 하나의 통합된 개념과 방향성을 바탕으로, 공간 내 모든 디자인 요소를 일관되게 설계하는 접근 방식.
  • 단순히 개별 요소의 디자인이 아닌, 공간 전체의 조화와 정체성 구축에 초점.

주요 특징

  1. 일관성: 공간의 모든 구성 요소가 통일된 디자인 언어를 공유.
  2. 통합성: 건축물, 조경, 가로시설물 등 다양한 디자인 분야를 하나의 방향으로 조정.
  3. 지역성: 지역의 고유한 특성과 문화를 반영.
  4. 효율성: 개별 설계 요소 간 충돌 방지 및 유지 관리 효율화.

주요 적용 분야

  • 도시재생 프로젝트.
  • 신도시 개발.
  • 대형 복합 문화 공간(예: 캠퍼스, 공항, 전시관).
  • 특정 브랜드나 지역 정체성을 강조한 공간 설계.

목적

  • 사용자 경험 극대화.
  • 지역 특성을 강화하여 차별화된 이미지 구축.
  • 경제적, 심미적, 기능적 가치를 동시에 달성.